(누리일보) 추석이 닷새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는 ‘한돈데이(10월 1일)’가 바로 추석 전 주다.
농촌진흥청은 ‘1001’ 숫자 배열이 돼지 코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한돈데이와 명절을 맞아 우리 돼지의 맛과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한국형 흑돼지 ‘우리흑돈’을 재조명했다.
국민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2023년 29.6kg에서 2024년 약 30kg으로 늘었다. 돼지는 2024년 농업생산액 1위를 차지하며, 돼지고기 역시 국민이 가장 선호하는 육류에 이름을 올렸다.
국립축산과학원이 개발한‘우리흑돈’은 한국 재래돼지 혈통을 계승해 맛과 영양을 동시에 잡은 신개념 한돈이다. 상업형 돼지(LYD)와 동일 사양 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색·풍미·다즙성·연도 등 관능 평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리 시 육즙 손실이 적어 촉촉한 맛을 유지하고, 올레인산에서 기인한 고소한 향 성분이 풍부하게 발생해 구이로 조리했을 때 향미가 한층 살아난다.
삼겹살의 지방 성분 분석 결과에서도‘우리흑돈’은 단일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아 풍미가 개선됐고, 오메가-6/오메가-3 비율은 20.35로 상업형 돼지(LYD(23.06))보다 낮았다. 이 수치가 낮을수록 오메가-3 비중이 커져 영양학적으로 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부터는‘우리흑돈’이 일부 대형마트에 입점해 그동안 온라인·직판 위주로 이뤄지던 유통이 상시 판매 체계로 확대된다. 이후 소비자 만족도 조사와 시장 반응을 기반으로 유통망을 넓혀갈 계획이다.
추석 상차림에 빠지지 않는 돼지고기는 갈비찜과 수육(갈비·앞다리 부위), 구이(삼겹살·목심), 산적과 전(안심·뒷다리살)에 두루 응용할 수 있다. 고령자의 담백한 건강식, 아이들 영양식으로 손색없고, 청·장년층이 선호하는 풍미 가득한 구이로 즐길 수 있어 온 세대가 함께하는 명절 음식으로 안성맞춤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조규호 과장은“올해는 한돈데이와 추석이 이어지면서, 우리 돼지고기의 가치를 국민과 함께 나누고 농가에 보탬을 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만들어졌다.”라며 “국민이 안심하고 찾을 수 있도록 품질 향상과 안정적인 공급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푸드테크과 강근호 과장은 “돼지고기는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국민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자원이다.”라며“과학적 데이터를 축적해 국민이 안심하고 찾을 수 있는 우리돼지 관련 연구에 힘쓰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