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광주광역시, 지역 AI기업 중국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시, 푸둥소프트웨어파크·링양스마트테크놀로지와 협약 체결

 

(누리일보) ‘대한민국 AI 중심도시’ 광주시가 지역 인공지능(AI) 기업들의 중국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

 

강기정 시장 등 광주광역시 대표단은 26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 ‘푸둥 소프트웨어파크’에서 광주시–푸둥 소프트웨어파크 창업투자관리 유한회사–링양 스마트 테크놀로지 3자 간 ‘AI산업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푸둥 소프트웨어파크 창업투자관리 유한회사의 네잉(聂影) 당서기 겸 총경리, 퉁젠퍼이(童剑飞) 사장, 링양 스마트테크놀로지의 양위쥔(杨宇骏)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협약은 양국의 AI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교류·협력 의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산업·기술·인재를 포괄하는 협력체계 구축이 주된 내용이다.

 

협약에 따라 이들 기관은 ▲혁신 자원과 성과 공유 및 양국 해외 진출 지원 ▲AI 실증 및 모델 연구개발 등 기술 분야 협력 ▲AI 인재양성 및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으로 광주지역 AI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교두보가 마련되고, 실질적 기술·인재 교류 채널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푸둥 소프트웨어파크 창업투자관리 유한회사’는 푸둥 소프트웨어파크 산하의 창업투자·보육 전문회사로, 초기(시드·엔젤) 투자와 액셀러레이팅을 맡고 있다. 수백 개 기업을 인큐베이팅했고 히말라야(Ximalaya), 치니우(Qiniu) 등 다수의 유니콘을 성장시킨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링양스마트테크놀로지’는 푸둥 소프트웨어파크 입주기업으로, 자율주행, 디지털트윈, 무인 운영 솔루션 등을 주력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네잉 당서기 겸 총경리는 “인공지능(AI) 도시 광주는 중국과 가까운 인연이자 중요한 협력 파트너이다”며 “이번 협력이 양국 경제의 주춧돌이 되고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동력이 되길 바란다. 이번 협약이 뿌리내리고, 풍성한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중심도시 광주는 4300억원 규모 1단계 사업에 이어 6000억원 규모 2단계 사업과 2조5000억원 규모 국가컴퓨팅센터 유치를 통해 AI 기업 1000개 집적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이 광주 AI기업들의 해외진출 교두보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중국 진출 채널을 확보한 만큼 지속적인 소통·교류를 통해 기술 투자 유치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용인특례시의회 윤원균 의원,용인시 뇌병변장애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간담회 개최
(누리일보) 용인특례시의회 윤원균 의원(상현1동·상현3동/더불어민주당)은 14일 의회 대회의실에서 ‘용인시 뇌병변장애인 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뇌병변장애인의 권리 보장과 삶의 질 향상, 자립 지원을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관련 기관 및 전문가, 시민대표가 함께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간담회에는 윤원균 의원을 비롯해 공홍식, 명지선 전 시의원이 뇌병변장애인 시민대표로 참석했으며, 최영만 경기도장애인복지회 용인시지부 회장, 박금란 러스크병원 행정부원장, 김재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 용인시 관계 공무원 등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윤원균 의원은 “뇌병변장애인의 일상 회복과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조례 제정을 통해 시민 누구나 차별 없이 존엄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도시, 함께 사는 용인을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자유토론을 통해 재활·복지 서비스 연계 강화, 장기적 자립 지원 체계 마련, 제도적 사각지대 해소 등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