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대구광역시는 5월 29일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기반 강화를 위해 대구시, 교육청, 대학 등 관계기관이 참석하는 ‘2025년 대구광역시 교육발전특구 추진협의회’를 대구시청 동인청사 10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한다.
교육발전특구는 교육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시행하며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기업,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 발전을 위해 지역의 교육혁신, 지역 인재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이다.
대구시와 교육청은 지난해 2월'교육발전특구 선도 시범지역'으로 선정되어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6대 중점과제 30개 세부과제를 추진하여 매년 200억 원 규모의(’24년 214억 원, ’25년 202억 원) 교육부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으며, 지역특성에 맞는 특례를 제안하여 특별법안에 반영함으로써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대구교육발전특구의 사업방향과 그동안의 사업 운영성과,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교육발전특구 정식 지정을 위한 공감대 형성과 협력을 다짐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교육발전특구 이외에도 안정적인 교육재정 운영을 위해 해마다 약 5,000억 원의 법정전출금을 교육청에 지급하고, 지역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복지 지원, 교육격차 해소, 교육환경 개선 등의 목적으로 800여억 원의 사업비도 교육청과 구‧군 등을 통해 지원한다.
『학생복지 분야』에서는 학생들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학교급식 우수식재료비, 유치원 및 학교 무상급식비로 654억 원,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비 25억 원을 각각 지원하고 있으며,
『교육격차 해소 분야』에서는 저소득층 가정 중‧고등학생에게 1인당 연간 20만 원 포인트가 적립된 카드를 지원하는 대구시 교육바우처 사업으로 24억 원을,『교육환경 개선 분야』에서는 다목적 강당 신축, 학교 증축을 위해 20억 원을 지원하는 등 다방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박윤희 대구광역시 청년여성교육국장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우수한 인재가 풍부한 도시, 인재가 정착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대구시는 교육청 등 관련기관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