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0.7℃
  • 맑음서울 -1.9℃
  • 맑음대전 -0.3℃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3℃
  • 흐림광주 4.9℃
  • 맑음부산 3.1℃
  • 흐림고창 3.7℃
  • 제주 10.2℃
  • 맑음강화 -3.2℃
  • 구름많음보은 -0.6℃
  • 흐림금산 0.3℃
  • 흐림강진군 7.0℃
  • 구름조금경주시 1.8℃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책과 뇌과학으로 마음 치유…제주도 한라도서관 11월 프로그램

‘회복하는 뇌, 치유하는 책’ 주제 장동선․정세희 초청 뇌과학 특강, 테마전시 등

 

(누리일보) 제주특별자치도 한라도서관(관장 양애옥)이 대중적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와 서울대 뇌 전문의 정세희 교수를 초청해 뇌과학 특강을 연다. 11월 한 달 동안 ‘회복하는 뇌, 치유하는 책’을 주제로 전시와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한다.

 

현대인들이 스트레스와 불안, 번아웃 등으로 정신적 피로가 증가하면서 뇌의 회복력과 마음의 치유 과정을 과학적으로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1일부터 30일까지 한라도서관 1층 로비에서 뇌 관련 국내외 서적 53권을 전시한다. 뇌의 구조와 기능, 감정 조절과 회복탄력성 등 인간의 정신과학을 담은 책들로 시민들이 일상에서 겪는 감정과 사고를 뇌의 작용을 통해 이해하고 마음을 회복하는 방법을 탐색할 수 있다.

 

첫 번째 강연은 21일 오후 3시 한라도서관 시청각실에서 열린다. 궁금한뇌연구소 대표 장동선 박사가 ‘뇌과학과 회복탄력성’을 주제로 강연한다.

 

'어쩌다 어른', '알뜰신잡' 등 다수 방송에 출연하고 ‘행복은 뇌 안에’, ‘AI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를 집필한 장 박사는 뇌의 작동 원리와 감정의 메커니즘, 어려움을 이겨내는 회복탄력성의 비밀을 쉽고 흥미롭게 풀어낼 예정이다.

 

12월 3일 오후 3시에는 ‘길 위의 뇌’ 저자인 정세희 교수가 두 번째 초청 강연을 진행한다.

 

20년 경력의 서울대 뇌 전문의인 정 교수는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 등 다수 방송에 출연해 신체 활동이 뇌 건강과 삶의 활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알려왔다. 전공의 시절부터 20년 넘게 달리기를 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달리기가 인간의 뇌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한다.

 

강연 신청은 4일부터 시작해 한라도서관 누리집에서 선착순 100명을 받고 있다.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에코나눔존’도 1층 로비에서 운영한다. ‘뇌 정리, 집안 정리’를 주제로 사용하지 않는 에코백, 컵 등 생활용품을 시민들이 현장에 기증하고 필요한 물품을 서로 나눈다. 일상생활 정리를 통해 마음속 비움과 뇌의 휴식, 회복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양애옥 한라도서관장은 “뇌과학이라는 다소 전문적인 주제가 도민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많은 분이 참여해 지친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경기도의회 이은주 의원, “교육은 정치가 아니다... 균형 잡힌 교육행정과 지속가능한 정책 필요”
(누리일보)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이은주 의원(국민의힘, 구리2) 은 17일, 열린 2025년 교육행정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고3 사회진출 역량강화 지원사업, 지스포츠클럽 운영, 통합교육청 분리 시 인력 배치, 편향 논란 도서 비치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집중 질의를 이어갔다. 이 의원은 먼저 총사업비 372억 원 규모로 추진 중인 고3 사회진출 역량강화 지원사업에 대해 “정책 초기단계의 행정 부담과 프로그램 질 관리, 향후 지속가능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는 있지만, 사업 자체의 교육적 의미와 정책적 방향성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과거 코로나 시기 지급된 교육회복지원금은 실질적 성과를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이번 사업은 자격증 취득 여부 등 교육적 성과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며 “정량·정성 평가체계를 마련해 참여 확대와 프로그램 다양화, 지속가능성 확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지스포츠클럽 지원사업과 관련해서도 “현재 28개 시군에서 운영 중이지만 모든 시군으로 확대돼야 학생 스포츠 생태계가 온전히 구축될 것”이라며 “초·중·고 연계형 스포츠클럽 체계를 마련하기 위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