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3.3℃
  • 흐림강릉 11.9℃
  • 흐림서울 15.8℃
  • 구름많음대전 15.9℃
  • 구름많음대구 15.5℃
  • 흐림울산 15.7℃
  • 광주 15.8℃
  • 부산 16.1℃
  • 흐림고창 16.2℃
  • 제주 18.1℃
  • 흐림강화 12.4℃
  • 흐림보은 15.2℃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4.7℃
  • 흐림경주시 14.0℃
  • 흐림거제 14.9℃
기상청 제공

제3회 제주4·3영화제 단편 경쟁 ‘불란지’ 예선 결과 10편 선정

341편 접수, 지난해 대비 46편 증가 … 11월 당선작 4편 시상

 

(누리일보)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하는 2025년 제3회 제주4․3영화제 단편 경쟁 ‘불란지’의 예선 심사 결과가 공개됐다.

 

6월 26일(목)부터 8월 7일(목)까지 총 43일 동안 출품작을 공개 모집했으며, 극 영화 270편, 다큐멘터리 17편, 실험 영화 8편, 애니메이션 44편, 에세이 1편, AI 1편 등 모두 341편이 접수됐다. 단편 경쟁 부문을 시작한 지난해 보다 46편이 늘어나며, 제3회 제주4․3영화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4‧3평화재단은 김보년 서울아트씨네마 프로그래머(전주국제영화제 등 심사 다수), 박소현 영화감독(서울국제여성영화제 등 심사 다수), 양동규 다큐멘터리 감독(제1~3회 제주4‧3영화제 집행위원), 한형진 기자(제3회 제주4‧3영화제 집행위원) 등을 예선심사위원단으로 위촉해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 결과 총 10편이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됐다. ▲물질 ▲산의 뱃속 ▲산행 ▲살처분 ▲숲, 틈 ▲쇠둘레땅: 두루미마을의 탄생 ▲어둠은 중력을 지닌다 ▲ 팔레스타인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 ▲후잉 ▲K-ALMA-Q 등이다.(이상 가나다 순)

 

본선 진출작들은 전쟁, 팔레스타인 학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개발과 독재, 탈북, 광주5.18민주화운동, 생명 존중, 생태주의, 제주해녀 등 오늘 날 현대사회에서 현재 진행형인 주제들을 영상에 담아냈다.

 

예선심사위원단은 “본선 진출작들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자 한반도에 깊이 새겨진 전쟁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이 눈에 띄었다”면서 “무엇보다 불란지 단편 경쟁을 처음 시작한 지난해 보다 공모에 참여한 작품의 숫자가 늘어난 점은 고무적인 일이다. 제주4‧3영화제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점점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불란지 단편 경쟁작은 ▲국가폭력과 불의에 대한 저항(4‧3, 독재, 분쟁, 학살, 폭력, 트라우마 등) ▲사회구조와 불평등(노동, 자본, 차별, 경계 등) ▲분단과 디아스포라(분단, 난민, 이주, 재일 등) ▲붕괴와 재건, 치유의 상상력(재난, 해체, 새로운 삶의 방식, 공동체 재구성 등)을 주제로 한 40분 이하의 단편 작품을 장르 제한 없이 모집했다.

 

단편 경쟁의 본선 심사는 11월에 열리는 제3회 제주4‧3영화제 기간 동안 진행된다. 본선심사위원단의 심사를 통해 최우수 작품상(상금 300만 원)은 1편, 작품상(상금 150만 원)은 극영화-다큐멘터리를 각각 1편씩 선정해 상금과 상패를 수여하고, 관객상(상금 50만원) 1편은 사전에 모집된 관객심사단들의 평가를 통해 선정, 상금과 상패를 수여한다.

 

제3회 제주4·3영화제는 11월 20일(목) 개막식을 시작해 24일(일) 폐막식을 끝으로 막을 내릴 예정이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다시 돌아온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경상원 “소비자 편의 위해 절차·혜택 대폭 개선”
(누리일보) 지난 6월 경기도 내 400여 개 상권이 참여해 최대 20%의 페이백을 지급한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이 다시 찾아왔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은 하반기 통큰 세일을 오는 22일부터 30일까지 경기도 전역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행사는 상인들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백 방법을 간소화했으며 혜택도 늘렸다. 지난 상반기에는 상권별로 마련된 페이백 부스에서 종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조건 충족 시 지류 온누리 상품권 또는 경품 등을 지급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부 현장의 불만이 발생했고 실제로 민생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내용이 지속 화두에 올랐다. 이후 경상원은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상인회가 행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기지역화폐를 활용해 자동 페이백 시스템을 구축했고 결제부터 페이백까지 한 번에 이뤄지도록 개선했다. 하반기부터는 소비자가 경기지역화폐로 결제하면 페이백이 사용자 지역화폐로 자동 입금된다. 실물카드 없이 지역화폐 애플리케이션 ‘지역상품권 착’(Chak)으로 운용하는 성남, 시흥시도 지역화폐 앱 결제 시 똑같이 적용된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