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12.2℃
  • 맑음서울 12.4℃
  • 구름많음대전 11.0℃
  • 흐림대구 10.8℃
  • 흐림울산 12.7℃
  • 흐림광주 11.4℃
  • 흐림부산 14.4℃
  • 흐림고창 9.0℃
  • 흐림제주 15.6℃
  • 맑음강화 7.1℃
  • 흐림보은 8.4℃
  • 흐림금산 8.6℃
  • 흐림강진군 10.7℃
  • 흐림경주시 10.1℃
  • 흐림거제 11.8℃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우상혁 선수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우승 축하

이 시장, 우상혁 선수와 통화에서 “출전한 7개 국제대회를 모두 석권한 것은 대한민국 육상 역사상 처음일 것...대한민국과 용인 빛내줘서 자랑스럽고 감사하다”

 

(누리일보)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12일(한국시각) 모나코 ‘스타드 루이 2세 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연맹(WA) 다이아몬드리그’ 남자 높이뛰기에서 우승하며 올해 7연승을 달성한 우상혁 선수에게 전화를 걸어 축하와 격려를 전했다.

 

이상일 시장은 통화에서 “올해 출전한 모든 국제대회에서 잇달아 우승하며 7연승을 거둔 우상혁 선수에게 축하의 뜻을 전하며 대한민국과 용인특례시를 빛내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우상혁 선수가 올해 출전한 7개 국제대회를 모두 석권한 것은 대한민국 육상 역사상 아마 처음 있는 일일 것”이라며 “잘 준비해서 9월에 열릴 도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도 우승하길 바라며, 시도 시민과 함께 계속 응원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우상혁 선수는 “시장님과 시의 공시자, 시민들이 응원을 많이 해주셔서 올해 계속 좋은 소식을 전해 드리고 있는데, 많이 기쁘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우상혁 선수는 이번 대회에서 개인 최고 기록이자 세계 1위 기록에 해당하는 2m34를 기록했다.

 

지난 6월 로마 다이아몬드 리그에서 2m32를 넘으며 올 시즌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던 우상혁 선수는 이번 대회를 통해 올레 도로슈크(2m34·우크라이나)와 함께 올해 기록 세계 1위가 됐다.

 

우상혁 선수는 이번 대회 기록으로 오는 9월 도쿄에서 열리는 세계육상선수권 기준 기록(2m33)을 넘어서며 도쿄 세계선수권 출전권도 확보했다.

 

우상혁 선수는 올해 2월 9일 체코 실내대회(2m31), 2월 19일 슬로바키아 실내대회(2m28), 3월 21일 중국 난징 세계실내선수권(2m31) 등 실내 시즌 3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실외 시즌에서도 5월 10일 왓 그래비티챌린지(2m29), 구미 아시아선수권(2m29), 6월 로마 다이아몬드리그(2m32)에 이어 이번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2m34)까지 4개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며 올해 출전한 모든 국제대회에서 7연승을 했다.

 

이상일 시장은 2022년 7월 민선8기 용인특례시장으로 취임한 뒤 우상혁 선수를 용인특례시 소속으로 영입했다.

 

이 시장은 우상혁 선수와 오는 15일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리는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 남자축구 국가대항전 최종전인 한국-일본전을 함께 관람하며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을 응원할 예정이다.

 

용인 미르스타디움은 지난해 10월 ‘2026 FIFA 북중미월드컵 예선전’ 대한민국과 이라크의 경기, 지난 6월 5일 대한민국 남자축구 U-22 대표팀과 호주 U-22 대표팀의 평가전에 이어 이번 EAFF E-1 챔피언십을 치르며 최고의 잔디 수준과 시설로 국제대회를 치를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경기장임을 입증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화성특례시의회 김종복 의원 5분 자유발언, “여성친화도시에 반하는 화성특례시 행정기구 개편안” 우려
(누리일보) 화성특례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김종복 의원(동탄4·5·6동)은 12일 열린 ‘제246회 화성시의회 정례회 2차 본회의’5분 자유발언을 통해 2026년도 구청 체제 운영에 따라 이번 정례회 때 심의 예정인‘행정기구 개편안’에 우려를 나타냈다. 김 의원은 먼저 “현재의 여성다문화과를‘저출생대응과’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화성시가 그간 추진해 온 여성정책의 근본적인 지향점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어“여성다문화과가 수행해 온 여성정책은 사회참여 확대, 성별 격차 해소, 일자리 확대 등을 목표로 점차 발전해왔지만, 명칭 변경으로 인하여 여성정책의 목표가 출산 정책의 수단으로 취급하거나 가임기 여성 중심의 지원 정책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김 의원은 “저출산대응과의 정책 우선순위가 출산율 위주로 재편된다면 여성의 권익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은 뒷전으로 밀려난다”며 “여성다문화과 기능의 조정은 시민적 합의와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며, 일방적인 행정적 관점을 넘어 여성 인권과 평등의 관점에서 방향성을 수립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20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