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 서현×옥택연 로맨스에 폭풍처럼 몰아친 운명의 장난! 끝까지 예측 불가!

 

(누리일보) 서현, 옥택연, 권한솔, 서범준, 지혜원이 활약한 로맨스 소설이 완결을 향해 달려간다.

 

KBS 2TV 수목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연출 이웅희, 강수연 / 극본 전선영 / 기획·제작 스튜디오N, 몬스터유니온)는 한 여대생이 자신이 즐겨 읽던 소설 속 세계에 빙의하게 된다는 독특한 설정을 바탕으로 서현(차선책 역), 옥택연(이번 역), 권한솔(조은애 역), 서범준(정수겸 역), 지혜원(도화선 역)이 극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시청자들의 호응을 이끌어왔다.

 

이에 이들의 이야기가 어떤 결말을 완성할지 마지막 관전 포인트를 짚어봤다.

 

# 전장으로 떠난 옥택연과 남겨진 서현! 두 사람의 운명은?

 

단역 차선책(서현 분)은 폭군 남주 이번(옥택연 분)이 더 이상 누군가의 원망을 짊어지지 않기를 바라며 사람을 죽이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

 

이후 이번은 살생을 명한 왕명을 거부하는 결단을 내렸고 그 여파로 하루아침에 왕의 총애를 받던 신하에서 역적으로 전락했다. 이어 오랜 악연을 지닌 성현군 이규(이태선 분)의 모략에 휘말려 죄를 씻는다는 명목 아래 목숨이 위태로울 수밖에 없는 전쟁터로 떠나게 됐다.

 

그런가 하면 홀로 도성에 남겨진 차선책 역시 순탄치 않은 상황이 예상된다. 권력을 노리는 이규가 그간 차선책을 향한 관심을 드러낸 데다 이번을 끈질기게 괴롭혀온 흑사단의 수장이 이규였다는 사실도 드러났기 때문.

 

왕실을 뒤흔들 복병으로 부상한 이규가 어떤 방식으로 차선책을 위협할지 그리고 그녀가 이 불안한 그림자 속에서 이번이 돌아올 때까지 무사히 버텨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은애하던 여주 권한솔이 빌런?! 서브 남주 서범준의 마음 아픈 로맨스!

 

서브 남주 정수겸(서범준 분)의 로맨스 향방도 주목할 만한 포인트다. 그간 정수겸은 자신의 폭탄주를 대신 마셔주는 여자 주인공 조은애(권한솔 분)의 모습에 첫눈에 반하고 박력 있는 벽치기(?)에 마음을 제대로 빼앗기며 그녀를 향한 감정을 키워왔다.

 

하지만 조은애가 차선책의 납치를 의뢰한 배후였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정수겸은 큰 충격에 휩싸였다.

 

그는 우선 이 진실을 벗인 이번에게 털어놓으며 사랑보다 우정을 선택했지만 오랜 시간 애정을 품어온 만큼 그 마음은 더없이 복잡할 터. 과연 정수겸이 조은애를 향한 마음을 접을 수 있을지 두 사람의 관계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마지막까지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는 전개로 짜릿한 궁금증을 자극 중인 KBS 2TV 수목드라마 ‘남주의 첫날밤을 가져버렸다’는 이번 주 16일(수), 17일(목) 밤 9시 50분 마지막 2회가 각각 방송된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유‧초‧특수학교 수석교사와 함께 여는 수업의 미래 ‘경기도교육청 초등 미래수업 포럼’
(누리일보) 경기도교육청이 18일 ‘유·초·특수 수석교사와 함께하는 2025 초등 미래 수업 포럼’을 개최했다. 미래 사회에서 학생 역량을 기르기 위한 수업의 본질과 방향을 모색하고, 현장 교원의 수업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기획한 자리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열린 이번 포럼에는 도내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원 400여 명이 참석해 미래 수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주요 순서는 ▲기조강연 ▲수업 사례 나눔 ▲모의수업의 총 3부로 나눠 진행했다. 1부에서는 ▲미래사회와 교육의 방향(김태원 전 구글코리아 전무) ▲수업을 다시 묻다(이환규 빛가온초 수석교사) 주제 강연을 통해 교육의 변화 방향을 이해하고 수업이 나아갈 길을 성찰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어 2부에서는 ▲질문이 살아있는 교실 ▲사회정서학습 ▲인공지능과 에듀테크 활용 ▲생태전환교육 ▲논술형 평가 단원 설계 등 참석자들을 주제에 따라 12개 반으로 나누고, 교실에서 얻은 경험과 고민을 토대로 다양한 수업 이야기를 공유했다. 3부에는 수석교사가 교사 역할을, 참가한 교원이 학생의 역할로 참여해 수업을 배우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모의수업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