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7 (월)

  • 흐림동두천 4.5℃
  • 흐림강릉 6.2℃
  • 구름많음서울 5.1℃
  • 맑음대전 8.4℃
  • 구름많음대구 8.1℃
  • 울산 6.4℃
  • 맑음광주 7.0℃
  • 구름조금부산 8.4℃
  • 맑음고창 5.4℃
  • 맑음제주 8.5℃
  • 구름많음강화 3.5℃
  • 맑음보은 6.5℃
  • 맑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7.7℃
  • 구름많음경주시 8.5℃
  • 맑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대전시의회 박주화 의원,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도시 조성 첫발 내딛어

초고령사회 스마트도시로 가는 정책토론회 개최

 

(누리일보)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박주화 의원(중구1, 극민의힘)은 17일 대전시의회 소통실에서 고령친화형 스마트도시 만들기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해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고령친화도시 조성 방안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좌장은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박주화 의원이 맡았고, 전문가, 대전시 관계자, 시민 등이 참석해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고령친화적 도시 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먼저, “스마트 고령친화도시 모색”이라는 주제로 임재빈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교수가 주제발표를 통해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돌봄 서비스, 생활 안전 시스템 등 고령자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대전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정책 추진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지속 가능한 서비스 제공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서 진행된 지정토론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대전시의 스마트 고령친화도시 조성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상호 국립한밭대학교 교수는 스마트 헬스, 돌봄, 응급 서비스 등 고령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활동 공간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AI와 센싱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도시 관리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민관 협력을 강화해 스마트도시 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염인섭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대전시의 고령화 현황을 분석하며, 고령층의 지역별 분포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프라 조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단순한 복지시설 확충보다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이 중요하며, 디지털 격차 해소와 함께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원용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AI, 로봇, 모빌리티 등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고령자의 생활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스마트 기술의 발전이 고령층의 접근성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고령친화적인 기술 설계와 사용자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와 서비스 품질 간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류주연 대전광역시사회서비스원 선임연구원은 대전의 고령자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스마트 돌봄 서비스 필요성을 제기했다.

 

스마트 경로당, AI 돌봄 인형,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가 노인의 생활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관련 분야를 더욱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한 교육과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스마트 기술이 모든 계층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