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4.6℃
  • 구름조금강릉 10.5℃
  • 구름조금서울 17.9℃
  • 맑음대전 21.8℃
  • 구름많음대구 17.6℃
  • 구름많음울산 15.7℃
  • 맑음광주 17.8℃
  • 부산 16.3℃
  • 맑음고창 17.0℃
  • 맑음제주 19.2℃
  • 맑음강화 16.3℃
  • 구름많음보은 13.6℃
  • 맑음금산 21.7℃
  • 맑음강진군 15.6℃
  • 구름많음경주시 16.8℃
  • 맑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전북도의회 늘어나는 지역축제, 트로트 공연으로 전락

지역축제만 급증, 지역주민 참여율ㆍ외부방문객수ㆍ1인당 관광소비액은 감소

 

(누리일보)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박정규 의원(임실)은 제417회 임시회 도정질문을 통해 지역축제가 급증했지만, 지역 주민과 방문객의 관심은 떨어지고 진부한 트로트 공연에만 의존하고 있는 지역축제 문제를 지적했다.

 

전북자치도의 지역축제는 2024년 기준 88건, 예산만 450억원 이상이다. 2018년과 비교해 축제 수는 87.2%(42건) 늘고, 예산은 69.7%(185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의 축제 참여율은 2019년 61.3%에서 2023년 27.5%로 폭락했다. 같은 기간 대표적인 문화관광축제의 외부 방문객 비율도 5.86% 줄어 50.77%에 불과하며, 1인당 소비액도 12.13% 감소해 7,800원 수준에 머물렀다.

 

박 의원은 “지역축제가 우후죽순 늘어났을 뿐 정작 지역 주민과 방문객의 관심은 싸늘하다”며, “이제라도 전북자치도가 선제적으로 나서 지역축제의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접근방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트로트 가수 등 연예인이 참가하는 축제도 늘어났다. 2022년 25개에서 2024년 50개로 두 배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지역축제가 트로트 가수 공연이 중심이 되면서 축제 본연의 취지가 흐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연이 열리면 팬들이 몰려오지만, 지역 주민은 뒷전이고 공연이 끝나면 바로 떠나버려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박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10분 남짓한 공연을 위해 한 명의 유명가수에게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의 출연료를 지급하면서도 정작 지역 예술인은 한참 못 미치는 출연료를 받고 작은 무대나 한가한 시간대에 배치되고 있다”며, “지역축제의 중심이 되어야 할 예술인은 제대로 설 자리조차 얻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암울함까지 느낀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도에서 지원하는 축제 선정 기준을 재정비해 지역예술인의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며, “축제예산에서 일정 비율을 지역예술인 지원금으로 배정하고, 유명 가수와 지역예술인이 함께 무대에 오를 기회를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끝으로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지역의 발전과 문화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축제를 기획하고, 지역예술인과 주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가 될 때 진정한 지역 활성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