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일보) 전북특별자치도가 중소기업의 육아휴직자 업무 공백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육아휴직 대체인력 근로자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육아휴직자 대신 고용되거나 파견된 근로자에게 최대 200만원을 직접 지원하여 소득을 보완하는 제도로, 취업 후 3개월과 6개월 시점에 각 100만원씩 지원금을 지급한다. 이는 대체인력을 채용하려 해도 구직자를 구하기 어렵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기업의 인력난을 완화하기 위해 신설한 것이다.
지원 대상은 고용노동부의 대체인력지원금 대상으로 선정된 50인 미만 중소 제조업체에 2025년 1월 1일 이후 고용된 대체인력 근로자로, 기업당 2명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오는 4월 1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140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는 전주고용센터와 협업을 통해 대체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소하고, 재직자들이 자유롭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자세한 내용은 전북특별자치도 중소기업종합지원시스템 또는 전북경제통상진흥원 누리집에 게시된 공고문과 기업성장팀으로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전북자치도는 지난 2월부터 초등학생 자녀를 둔 중소기업 근로자가 임금 삭감 없이 근무 시간을 단축하여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초등학부모 10시 출근제 도입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운영 중이다.
이 사업은 사업주에게 최대 110만원의 장려금을 지원하는 제도로, 시행 초기 한 달 만에 신청자 수가 46명에 달해 목표의 50%를 넘는 등 기업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김인태 전북자치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권리이지만, 인력 부족으로 인해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직도 많다”며, “이러한 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안심하고 대체인력을 고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들을 발굴·지원하여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성장하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