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조금동두천 17.2℃
  • 맑음강릉 11.9℃
  • 구름조금서울 18.3℃
  • 맑음대전 19.8℃
  • 구름많음대구 16.0℃
  • 흐림울산 19.1℃
  • 맑음광주 18.6℃
  • 구름많음부산 17.5℃
  • 맑음고창 17.3℃
  • 흐림제주 22.2℃
  • 맑음강화 15.7℃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5℃
  • 구름많음강진군 18.0℃
  • 구름많음경주시 15.3℃
  • 구름많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조태열 외교부장관, 베트남 국가지도자 예방

베트남 총리, 한국측과의 원전 사업 협력 의지 공개 표명

 

(누리일보) 베트남을 공식 방문 중인 조태열 외교부장관은 4월 16일 팜 밍 찡 (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 및 르엉 끄엉 (Luong Cuong) 베트남 국가주석을 각각 예방했다.

 

찡 총리는 조 장관이 한국 정부를 대표하여 제4차 P4G 정상회의에 참석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양국의 호혜적인 경제협력 및 베트남의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하면서 앞으로 반도체, 산업인재 양성 등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투자 확대를 기대한다고 했다. 찡 총리는 특히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을 통해 베트남 신규 원전 사업과 관련하여 한국측과 적극 협력하고자 한다고 언급하고, 한국 기업 애로사항 해소 및 한국 동포사회 지원에 대해서도 계속 관심을 갖고 직접 챙겨 나가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어제 제2차 한-베트남 외교장관 대화를 통해 양국 정상회담의 합의사항이 착실히 이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하고, 앞으로도 양국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30년 교역액 1,500억불 달성 등 합의사항을 적극 이행해 나가겠다고 했다.

 

조 장관은 찡 총리가 지난 3월 우리 기업들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여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 우리 진출 기업의 활동을 적극 지원해 주고 있는 데 대해 각별한 사의를 표했다. 조 장관은 어제 베트남 방문 첫 일정으로 우리 동포 및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소개하고, 인허가, 부과세 환급, 노동․체류 허가 등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과 동포사회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원전․고속철도 사업 등 대규모 전략적 협력 사업에 대한 찡 총리의 관심과 지원이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끄엉 주석은 조 장관의 베트남 공식 방문을 환영하고, 한국은 신뢰할 수 있는 핵심 파트너라고 하면서 양국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자고 했다. 끄엉 주석은 우수한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의 원전, 고속철도 등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환영하고, 올해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조 장관은 한-베트남 양국 관계가 최상의 상태에 있다고 강조하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인 양국이 교역․투자뿐만 아니라 ▴국방․방산 ▴원전 등 에너지 ▴고속철도 등 대형 인프라와 같이 전략적 중요성이 큰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했다. 조 장관은 올해 APEC 의장국인 한국과 2027년 APEC 의장국인 베트남이 APEC 차원의 협력도 활발히 추진해 나가길 바라며 이러한 차원에서 올해 경주 APEC 정상회의에 끄엉 주석의 참석을 환영한다고 했다.

 

조 장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러북 불법 군사 협력 등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우려를 표하고, 베트남이 북한의 도발 중단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끄엉 주석은 북한과의 접촉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베측의 입장을 일관되게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

 

조 장관은 찡 총리 및 끄엉 주석 예방 계기에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 관련 한국과 베트남 양국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하고, 베트남이 대미 협의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의 이해가 반영되도록 노력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한 후 향후 본격적인 협상 과정에서도 지속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번 조 장관의 베트남 방문은 양국 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양측의 의지를 재확인하고, 원전․고속철도 등 전략적이고 미래지향적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