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14.7℃
  • 구름많음강릉 -8.9℃
  • 맑음서울 -11.4℃
  • 맑음대전 -9.0℃
  • 맑음대구 -6.5℃
  • 맑음울산 -6.1℃
  • 광주 -4.2℃
  • 맑음부산 -5.5℃
  • 흐림고창 -6.2℃
  • 구름많음제주 2.2℃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9.2℃
  • 맑음금산 -9.6℃
  • 맑음강진군 -3.1℃
  • 맑음경주시 -9.1℃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교육부,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지원 사업 공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교육활동 인력, 보조기기 등 지원”

 

(누리일보)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월 4일, 2025년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지원 사업’을 공고하고, 2월 26일부터 3월 12일까지 15일간 신청을 받는다.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지원 사업’은 장애대학(원)생의 학습과 대학생활에 필요한 지원인력, 보조공학기기 및 장애인식개선교육 등에 소요되는 경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사업은 장애대학생에 대한 교육활동 지원으로 2005년부터 시작되어 보조기기 지원(2021년~), 대학자율사업 및 인식개선교육 지원(2022년~) 분야로 확대되어 왔다.

 

올해는 신청 수요가 많은 교육지원인력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보조공학기기의 유지보수비 등 운영비 지원 상한을 상향(총 신청액의 10% 이내 → 15%)하여 지원한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은 학생들의 수요를 파악하여 장애인고등교육지원센터(대교협)로 공문으로 신청해야 한다. 사업에 대한 대학관계자의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2월 12일 16시 온라인 사업설명회를 실시하여 자세한 신청방법·지원 내용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한편, 교육부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33조(2022.10.18.신설)에 따라 2024년 1월 31일 대교협을 장애인고등교육지원센터로 지정하여 대학에 재학하는 장애학생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고등교육지원센터는 지정 첫해인 2024년에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지원 사업’을 통해 99개 대학에 교육지원인력과 보조공학기기 등을 지원하고, ‘장애학생 지원 선도대학 사업’을 통해 10개 대학을 지정하여 장애대학생의 진로탐색부터 취업까지 밀착 지원했다. 사업 추진과 함께 대학 현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 담당자 대상으로 직무연수와 자문(컨설팅)을 진행했고, 현장 의견 수렴을 통해 ‘장애학생 지원 지침서(매뉴얼)’을 수정·배포했다.

 

아울러, 교육부와 장애인고등교육지원센터는 장애대학(원)생 통합적 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올해 안에 통합 시스템 구축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3년 주기의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실태조사를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최은희 인재정책실장은 “교육부는 장애 친화적 고등교육 환경 조성을 통해 장애대학(원)생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대학 및 장애인고등교육지원센터와 함께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국제

더보기
최상목 권한대행,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개최하여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를 점검하고 우리기업 지원방안을 논의
(누리일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월 4일 09:00, 정부서울청사에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과 함께 제6차 대외경제현안 간담회를 개최하여,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조치 동향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조치가 1개월간 유예됐으나 금번 관세 부과 조치와 각국의 대응이 이어질 경우 우리 수출과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으며 향후 미국의 관세 조치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하면서, 정부는 우리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수단을 모두 강구하여 체계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이를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중심으로 진출기업 간담회 등 협의체를 통해 전개 양상, 주요국 대응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우리 업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황 진전에 대응한 비상수출대책 마련과 함께 미국 신정부 인사들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우리 입장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