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과기정통부, 정보통신기술 국제공동연구 주요성과 발표

세계 최상위 논문, 저명학술지 표지 선정 등 국제 우수성과 다수 창출

 

(누리일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8월 16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정보통신기술 분야 국제공동연구 지원사업 ‘정보통신방송기술 국제공동연구사업’의 주요성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국제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전략적 협력이 필요한 국가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술격차를 해소하고, 핵심기술 확보 및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21년부터 ‘정보통신방송기술 국제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 국제공동연구를 지원해왔다.

 

지난 3년간 동 사업을 통해 미국, 캐나다, 독일 등 정보통신기술 기술 선도국 14개국과 인공지능 5세대 이동통신·6세대 이동통신 등 정보통신·방송 핵심기술의 공동연구를 지원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우수논문 발표, 국제 저명 학술지 표지 선정, 국제대회 최우수기술상 수상 등의 우수성과를 도출하며 세계 무대에서 우리 정보통신 기술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① 연세대학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NCSU)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을 결합한 통신시스템 최적화 6세대 이동통신 송수신 기법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연구성과로 인정받아, ‘23년 1월, 통신 분야 세계 상위 1%급 학술지인 ‘IEEE JSAC(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에 논문을 출판하며, 1년 내 인용 수 222회(한국 논문(SCI) 평균 인용수 12.22회)를 돌파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증명했다.

 

② 충남대학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양자 광학 기술을 활용해 인공지능 성능을 높이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기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연구를 통해 ‘24년 5월, 물리학 응용 분야 학술지 인용 보고서(JCR, Journal Citation Reports) 상위 6.6%인 국제저명학술지인 ‘Small’에 논문을 발표하고 뒷표지(Back cover)를 장식하는 영광을 안는 등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③ 주식회사 유캐스트와 인하대학교는 미국 덴버대학교와 해외 5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적용 5세대 이동통신 스몰셀*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고, 작년에는 브라질 도시에서 5세대 이동통신 스몰셀을 내장한 스마트가로등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그 결과, 스몰셀 분야 최고 권위기관인 ‘Small Cell Forum(SCF)’의 Industry Awards 2023에서 최우수 기술상을 수상하며, 지능형 도시 핵심 기반기술 확보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외에도 동 사업은 지난 3년 평균 SCI 논문의 표준화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mrnIF) 70.53점(’22년 국가연구개발 평균 68.5점), 정부지원금 10억원당 특허출원 3.65건(’22년 국가연구개발 평균 1.31건), 등록특허 SMART 지수 4.5점(’22년 ICT R&D 평균 4.18점), 국제표준 채택·반영 29건 등의 성과를 확보하며, 국가 및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사업 평균 대비 정보통신기술 분야 국제공동연구 지원의 질적·양적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과기정통부는 후속 사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 국제공동연구 사업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계획이다. 올해 새롭게 시작한 후속 사업인 ‘디지털혁신기술국제공동연구사업’은 ‘28년까지 국제 기술패권 경쟁 대응과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5년간 국가 전략기술 분야 국제공동연구를 집중 지원한다.

 

올해에는 미국의 공군과학연구소(AFOSR), 유럽연합의 정보통신총국, 핀란드의 비즈니스핀란드, 싱가포르의 인공지능 싱가포르 등과의 별도과제형 국제공동연구를 포함한 신규과제 12개를 지원한다.

 

특히, 이들 과제 중 양자 분야 한-미국 공동연구에는 미국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 수상자인 하버드대학교 김필립 교수가 해외 연구책임자로 참여하고, 인공지능 분야 한-미국 공동연구의 일환으로, 구글 본사와 공동연구를 함께 추진하는 등 세계적 석학 및 세계적 기업의 만남을 통해 우리 정보통신 기술의 혁신적 성장이 기대된다.

 

과기정통부 전영수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는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지만, 주요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우수 연구개발 성과를 창출하는 기회는 오히려 많아지고 있다.”며, “국제적 참여와 협력을 통해 개방형 혁신을 창출하는 국제공동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우리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의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행복한 신장마을" 안성시 신장마을공동체 '2025 경기마을공동체 한마당'서 도지사상 수상!
(누리일보) 지난 10월 18일, 경기 화성 장안대학교 자아실현관 아트홀에서 열린 ‘2025 경기마을공동체 한마당’ 우수활동 사례발표회에서 보개면 신장마을이 “행복 전파상” 도지사상을 받는 영광을 안았다. 이번 행사는 경기도 내 다양한 마을공동체들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마을 곳곳에서 빛나는 주민들의 소중한 노력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경기도는 31개 시군에서 추천받은 마을공동체를 대상으로 심사와 발표를 거쳐 총 10개의 우수 공동체를 선정했으며, 그중 신장마을이 도지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신장마을은 157명의 작은 농촌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주민총회, 노인회, 부녀회, 청년회 등 여러 조직이 서로 손잡고 함께 해오고 있다. 2024년 ‘동네 어르신과 함께, 안성맞춤 마을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이후, 해바라기 꽃길 가꾸기, 마을 벽화 그리기, 비봉산 숲길 조성, 손난타 교실 운영 등 다채로운 주민 참여 사업을 통해 마을을 한층 더 따뜻하고 활기차게 만들었다. 특히 선주민과 후주민 간에 있었던 갈등을 서로의 마음을 열고 대화를 나누며 화합의 장을 마련한 점, 그리고 자연을 아끼고 문화와 관광자원을 조화롭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