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7.4℃
  • 연무서울 8.9℃
  • 맑음대전 6.7℃
  • 맑음대구 7.4℃
  • 박무울산 7.5℃
  • 맑음광주 7.4℃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1.7℃
  • 맑음제주 9.5℃
  • 맑음강화 4.2℃
  • 맑음보은 4.2℃
  • 맑음금산 3.5℃
  • 맑음강진군 4.4℃
  • 맑음경주시 4.9℃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울산ㆍ경남지역혁신플랫폼 3차연도 지역공헌사업 운영결과 자체평가회 개최

울산‧경남 취약계층 및 미취업 청년 대상 취업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 21건 운영

 

(누리일보) 울산ㆍ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는 8일 총괄운영센터 1층 대회의실에서 2022년도 지역공헌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점검 및 평가하고, 참여대학 및 기관 관계자의 소감과 의견을 청취하고자 ‘울산ㆍ경남지역혁신플랫폼 3차연도 지역공헌프로그램 운영 결과 자체평가회’를 개최했다.


울산ㆍ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가 운영하는 ‘지역공헌프로그램’ 사업은 취업난을 겪는 대학생과 취약계층 청년 대상으로 다양한 전문기술 및 직무능력 함양과 취업지원을 목적으로 지자체, 지역전문대학, 혁신기관이 참여하는 공모사업이다.


이번 3차연도에는 2차연도와 달리 공모를 통해 사업계획의 실현가능성, 지역공헌도 및 전문성 등을 종합 검토하여 지역공헌프로그램을 운영했다. 2차연도 보다 14개가 늘어난 총 21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했고, 581명이 참여하여 549명이 최종 이수했다.


울산 및 경남소재의 5개 전문대학(한국승강기대, 창원문성대, 동원과학기술대, 울산과학대, 한국폴리텍대)과 5개의 기관(㈜챔프스터디, ㈜키움커리어, ㈜메타에듀, ㈜메타마이스터코리아, ㈜성공팩토리)이 참여하여, ▲반도체장비 실무과정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양성과정 ▲스마트공장 PLC공정제어실무과정 ▲DX(디지털전환)크리에이터 양성과정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자격취득과정 ▲승강기기능사 자격취득과정 ▲자동차정비기능사 자격취득과정 등 13여개의 분야에서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자체평가회를 통해 ▲3차연도 지역공헌프로그램 사업운영 성과와 ▲4차연도 지역공헌프로그램 발굴 및 사업운영 방안을 공유하고 ▲각 전문대학의 핵심 기반 역량을 활용한 인력양성 프로그램 발굴 방안에 대해서도 활발히 논의했다.


지역공헌프로그램 운영 소감 발표에 나선 한국승강기대학교 정재윤 교수는 “울산ㆍ경남지역혁신플랫폼 지역공헌프로그램을 우리 대학에서 운영함으로써 올해 80명의 청년을 모집하여 12명이 전문분야 자격증을 취득했고, 3명이 취업에 성공한 성과를 이루었다”며 감사의 말을 전하며 “앞으로도 플랫폼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지원”을 부탁했다.


장광수 울산ㆍ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장은 “4차연도에는 우리 플랫폼 지역공헌프로그램 사업의 교육분야를 지역 전략산업인 항공우주, 방산, 조선해양, 스마트공장, 반도체 등의 첨단기술 분야로 확대하고, 관련 자격증취득과 취업지원을 적극 강화하여 지역 청년들이 지역 산업에 종사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성남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1기 신도시 공모선정 4개 구역 추진위원회 간담회 개최
(누리일보) 성남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4월 10일 1기 신도시 공모선정 4개 구역 재건축 추진위원회와 사업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도시건설위원회 박은미 위원장, 최종성 부위원장, 박경희 위원, 박종각 위원과 1기 신도시 공모선정 4개 구역 재건축 추진위원회, 성남시 관계 공무원인 김광병 재개발재건축추진단장, 김인현 도시개발행정과장, 신진규 재건축과장 등 16명이 참석했다. 샛별마을 강필구 부위원장은 선도지구 공모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하여 사업성 저하에 따라 사업성 확보를 위해 이주대책 지원 증가 세대 수 반영, 학교 이전 및 신축에 따른 사업비 부담, 과도한 공공기여 비율 산정 방식 등 제도 개선과 일괄적 기준 완화를 통해 정책 일관성 유지와 행정절차의 신속한 추진을 요구했다. 김광병 재개발재건축추진단장은 “요구한 제도 개선 사항은 국토교통부의 법령 및 지침, 정비기본계획 등 제도적 틀 안에서 검토가 필요한 사안으로 향후 국토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했다. 도시건설위원회 위원들은 한목소리로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사업성 저하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