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수)

  • 흐림동두천 14.1℃
  • 구름많음강릉 16.8℃
  • 흐림서울 14.9℃
  • 대전 17.6℃
  • 구름많음대구 21.6℃
  • 구름조금울산 15.2℃
  • 흐림광주 17.2℃
  • 구름조금부산 16.5℃
  • 흐림고창 12.7℃
  • 구름많음제주 20.2℃
  • 흐림강화 10.9℃
  • 흐림보은 17.7℃
  • 흐림금산 16.7℃
  • 구름많음강진군 17.7℃
  • 구름조금경주시 18.1℃
  • 구름조금거제 16.6℃
기상청 제공

경상남도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지역 내 숨어있는 우량 ‘히든챔피언기업’ 선정

울산·경남 지역, 4개 분야별 히든챔피언기업 30개 선정

 

(누리일보) 경상남도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는 9일 울산·경남 지역에서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는 산업용 소재 및 부품 생산기업 위주의 지역 핵심 산업 분야별 30개(울산 7개, 경남 23개)의 ‘히든챔피언(Hidden Champion)기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분야별로는 ▲스마트제조 및 E-Mobility(16개) ▲정보통신(5개) ▲건축 및 건설(3개) ▲화공 및 에너지(6개) 이다.


이들 ‘히든챔피언기업’의 선정 과정을 보면 우선 ① 울산·경남 지역 내 10,000여 개의 후보 기업들 중에서 ② 핵심 분야별 산업용 소재 및 부품 제조기업들 1,000여 개를 분류 및 선별하고, ③ 이들 중에서 매출 500억 이상, 종업원 100명 이상, 기업부설연구소 보유, 연구개발투자비율 2% 이상과 업력 등 여러 조건을 감안하여 110개 기업을 선별한 다음, ④ 다시 이들을 해당 분야 전문가 위원회(30명)에 검토 및 자문 의뢰하여 최종 결정했다.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은 지역의 우수한 청년 인재들이 수도권 또는 대기업 위주로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현상에 대하여, 굳이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지역 내 우량한 기술집약형 기업들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에 지역 내 ‘히든챔피언기업’들을 선정하여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널리 홍보하기로 했다.


향후 이들 ‘울산·경남지역 히든챔피언기업’들에 대해서는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의 인재 양성 교육 시스템인 USG공유대학 학생들 위주로 취업 추천하고, 플랫폼 단위에서 추진하는 기술개발 공모사업, 채용연계 현장인턴십사업 등 여러 가지 지역 산업혁신과 청년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사업에 함께하도록 노력해갈 계획이다.


아울러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는 “‘울산·경남 히든챔피언기업’의 발굴 작업은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지역 내 우량 기업들과의 맞춤형 취업 연계 노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이러한 지역 내 우량 기업들을 정기적으로 추가 발굴하고 상호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경기도의회 전자영 의원, ‘학생통학 지원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상위법령 개정’ 환영
(누리일보) 경기도의회 전자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용인4)이 교육청에서 통학용 전세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개정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의 시행을 적극 환영하며 “시행령이 8일부터 시행돼 중ㆍ고등학생의 통학 지원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동안 학생통학은 학교장 단위의 전세버스 계약을 통해 지원돼 통학버스 수요가 적은 학교의 학생들은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신설된 ‘학생통학 순환버스’도 지자체 한정면허 방식으로 운영돼 통학 지원의 사각지대가 발생했다. 전자영 의원은 “학생통학 편의를 위한 경기도교육청 정책이 학교 규모나 지역에 따라 차별적이어서는 안 된다”면서 “이번 상위법령 개정으로 통학용 전세버스의 효율적인 운영과 개별학교의 행정업무 부담 경감을 통해 통학 지원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 의원은 “각종 도시 개발 사업으로 원거리 통학 학생은 늘었지만 통학용 전세버스 계약 규정에 따라 통학 지원에서 소외된 학생들이 많다”면서 “소규모 학교가 많은 지역에서는 학부모들이 별도로 비용을 부담해 통학버스를 마련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