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산업

원희룡 장관, “한-인니 교통협력 한 차원 높여야 할 때”

23일 인니 교통부 장관과 자카르타 MRT 4단계 등 교통협력 증대 논의

 

(누리일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6월 23일 부디 카르야(Budi Karya) 인도네시아 교통부 장관을 만나 자카르타 MRT(Mass Rapid Transit) 4단계, 지능형교통체계(ITS) 협력 등 양국 간 교통인프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인프라 개발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고, 주요 도시 대중교통시스템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고 있으며,특히, 국내 기업들이 플랜트, 교통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 인니는 올해 상반기 기준 해외건설 수주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양 측은 이번 면담에서 그간 추진된 철도 등 교통협력사업의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논의하였다.


부디 장관은 “자카르타 MRT 4단계 사업이 한국기업들의 투자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의 협조를 요청”하였으며, 원 장관은 부디 장관에게 “그간 일본이 주로 진출한 MRT 사업에 한국기업의 참여를 제안해 준 것에 감사하다”며, “최근 우리 국가철도공단을 비롯한 한국 컨소시엄이 MRT 4단계 사업의 타당성조사를 완료한 후, 자카르타 도시철도공사와 적절한 사업모델을 협의 중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지난 2019년 자카르타 LRT(Light Rapid Transit) 1단계 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함으로써, 인도네시아 철도사업에 성공적으로 첫 발을 딛게 되었으며, 후속 LRT 사업에도 우리기업이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 밖에, 원장관은 인도네시아에 2026 ITS 세계총회(World Congress) 강릉 유치*와 2030 부산세계박람회(World Expo) 유치** 지지를 요청하는 한편, 앞으로 양국 교통인프라 협력관계가 더욱 발전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가 나오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양국 장관은 면담에 이어 기존 교통협력 MOU(‘17년)를 보완‧체결함으로써, ① ITS, ② 자율주행차, ③ 도심항공교통(UAM) 및 드론 등 뉴 모빌리티 수단 및 기술을 포함하여 양국 교통 협력범위를 확장하였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장기간 중단되었던 양측 간 교통정책 협력회의를 재개하기로 하였다.


원 장관은 “한국의 우수한 기술과 경험으로 인도네시아의 도심 교통난 해소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한-인니 양국 간 교통협력을 한 차원 높여야 할 때”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과 인도네시아 ITS협회에서는 ITS 민간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기술과 경험 공유를 한층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양국 장관이 배석한 자리에서 체결하고, 앞으로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ITS 분야 협력과 발전을 다짐하였다.


오피니언


교육

더보기
안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소소한 연구모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누리일보) 안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소소한 연구모임(대표의원 현옥순)’이 지난 23일 의회 대회의실에서 안산 골목상권의 지속가능한 성장 방안을 모색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소소한 연구모임’ 소속 현옥순 설호영 이진분 최찬규 의원을 비롯해 안산시 소상공인지원과장, 안산상권활성화재단 대표이사, 용역 연구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으며, 보고회에서는 그간 진행해온 연구 결과 공유와 실질적인 정책 반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난 6월부터 약 4개월 동안 한국지역정책개발원이 수행했으며 ▲안산시 골목상권 현황 ▲주요 수요층 분석 ▲지역자원 활용 방안 ▲상인‐주민‐행정기관 간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성남시 우수사례 벤치마킹 과정을 거쳐 실현가능한 ‘안산형 골목상권 발전모델’을 최종적으로 도출했다. 특히 성남시 벤치마킹을 통해 골목상권 브랜드화의 필요성을 확인한 연구단체는 ▲‘(가칭)셀렉토어 안산 오디션 조성’을 통한 로컬 브랜드 발굴 ▲ 안산시 지역화폐와의 연계 확대 ▲ 개별 골목상권 지원의 근거 마련을 위한 조례안 제정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nbs

국제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