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갑 의원, LH 미매각 토지 여의도 면적의 4.9배인 429만 평 … 156개 수도권 미매각 토지 활용 시 최대 7.3만 호 공급 가능

  • 등록 2025.09.29 10:30:33
크게보기

공동주택용지 40만 5,048평, 단독주택용지 23만 8,975평, 상업용지 51만 318평

 

(누리일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미매각 토지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5년 6월 말 기준 LH가 보유한 미매각 토지는 429만 4,897평(1,419만 8,000㎡)으로 여의도 면적의 4.9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LH가 보유한 미매각 토지 중 ▴공동주택 용지는 40만 5,048평(133만 9,000㎡)으로 올림픽파크 포레온(1만 2,032호, 약 14.3만 평)을 약 2.9개 공급할 수 있는 미매각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단독주택 용지도 23만 8,975평(79만㎡)으로 래미안 원베일리(2,990호, 약 3.6만 평)를 약 6.6개 공급할 수 있는 미매각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주상복합 개발로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공급할 수 있는 ▴상업업무용지는 51만 318평(168만 7,000㎡), 공공시설 복합개발을 통해 주택 공급이 가능한 ▴공공시설용지도 29만 9,173평(98만 9,000㎡)이 매각되지 않았다.

 

LH 미매각 토지 중 주택을 100호 이상 공급할 수 있는 대지면적 3,000㎡ 이상의 수도권 소재 미매각 토지는 총 156개, 63만 5,886평(2,102,104㎡)으로 이를 최대한 활용할 경우, 주택 7만 2,624호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미매각 기간이 가장 긴 토지는 1996년 최초로 매각 공고된 이후 29년이 지나도록 매각되지 않은 ▴경기 파주 탄현면 통일동산지구 관광시설용지(3,401㎡)였으며, 2006년 매각 공고된 ▴경기 화성 봉담읍 동사무소용지(3,279㎡), 2007년 매각 공고된 ▴경기 용인 기흥구 영덕동 고등학교용지(1만 4,976㎡)와 중학교용지(1만 3,016㎡), ▴인천 중구 중산동 공동주택용지(3만 2,988㎡), ▴경기 양주 고읍동 연립주택용지(1만 6,751㎡), ▴경기 평택 청북면 종합병원용지(8,248㎡)와 일반상업용지(5,000㎡)도 매각되지 않았다.

 

주택 1,000호 이상 공급 가능한 대지면적 1만 평 이상 미매각 토지도 10개에 달하며, 이를 모두 활용할 경우, 주택 1만 9,392호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인천 중구 운남동 ▴1598-3(6만 493㎡), ▴1697-2(5만 6,945㎡), ▴1697-1(5만 6,079㎡) 미매각 분양아파트용지에 전용면적 59㎡와 84㎡ 아파트를 연면적의 50%씩 공급할 경우, 아파트를 각각 2,094호, 1,971호, 1,941호 등 6,006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2013년 매각 공고 이후 매각되지 않은 경기 김포시 운양동 1251-1(5만 9,739㎡)과 ▴경기 평택시 죽백동 814(4만 6,962㎡) 등 지원시설용지를 공동주택용지로 변경할 경우, 아파트를 각각 2,068호, 1,625호 등 3,693호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LH가 보유한 미매각 학교용지 16개를 주택 공급에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건설하기 위해 공급된 학교용지 16개를 용도 변경해 주택을 공급할 경우, 7,664호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10년 이상 매각되지 않은 ▴경기 수원 권선구 금곡동 고등학교용지(1만 6,231㎡), ▴인천 중구 운남동 초등학교용지(1만 4,872㎡), ▴경기 화성 향남읍 고등학교용지(1만 4,000㎡) 등 학교용지 9개만 용도 변경하여 주택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아파트 4,321호를 공급할 수 있다.

 

박 의원은 “정부가 주택 공급을 위해 새로운 공공주택지구 후보지를 발굴하는 경우, 주민 의견 청취와 토지 보상 등 절차적 문제로 최소 3년 이상이 필요하지만, LH 미매각 토지는 이를 필요로 하지 않아 사업 기간 단축이 가능하다”며 “정부가 LH 장기 미매각 토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현길 기자 nr0605@nuriilbo.com
Copyright @2019 누리일보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누리일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290-5 번지 2F 발행인 : 신현길 | 편집인 : 신현길 | 전화번호 : 031-335-0323 등록일 : 2019.07.04 등록번호 경기,아52251 Copyright ©2019 누리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