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그린수소 시대, 전문가의 지혜와 청소년의 호기심이 만나다"

  • 등록 2025.09.25 17:31:14
크게보기

그린수소 경제성 확보와 미래세대 교육, 그린수소 해법 집중 논의

 

(누리일보) 제주특별자치도가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with 분산에너지 글로벌 포럼)’에서 청정수소의 경제성 확보 방안과 미래세대 교육을 위한 특별 세션을 개최하며 수소경제 활성화에 나섰다.

 

제주도는 2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포럼 둘째날,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인 가운데 ‘그린수소 경제성 확보’와 ‘학생 아카데미’ 세션을 진행했다.

 

이번 세션들은 청정수소 산업의 경제성 확보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미래세대에게 수소경제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윤제용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그린수소 경제성 확보’ 세션에서는 정책·기술·시장 전망을 중심으로 청정수소 산업의 과제와 해법이 다뤄졌다.

 

이혜진 에너지경제연구원 실장은 각국이 도입하고 있는 청정수소 인증제 사례를 소개하며, 우리나라의 과제와 개선 방향을 설명했다. 인도는 ‘에너지 뱅킹 제도’를 통해 재생에너지로 남는 전기를 저장해 뒀다가 수소 생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고, 호주는 전력 생산·사용을 추적·인증하는 체계를 마련해 국제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실장은 “우리나라 역시 재생에너지 전력과 수소 생산의 연계성을 분명히 하고, 변동성이 큰 태양광·풍력 발전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리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신뢰성 있는 인증제도가 수소산업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첫걸음이라는 것이다.

 

 

 

박정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수소를 만드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인 알칼라인 수전해(AEL)과 양성자교환막 수전해(PEM)의 특징을 비교하며, “기술 발전과 보급 확대가 이뤄지면 지금보다 훨씬 낮은 비용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기홍 맥킨지코리아 파트너는 세계 각국의 수소 생산 단가와 정책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중국과 인도는 빠르게 비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한국·유럽 등은 보조금과 제도 지원이 뒷받침돼야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q 이날 오후에 진행된 ‘학생 아카데미’ 세션에서는 미래 에너지 산업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수소에너지의 기본 원리부터 산업적 활용까지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시간으로 꾸며졌다.

 

 

 

인기 과학 커뮤니케이터 ‘과학쿠키’는 ‘여러분이 궁금한 수소에너지의 A to Z’라는 주제로, 청소년 눈높이에 맞춘 강연을 펼쳤다.

 

 

 

이번 강연은 수소경제와 에너지 전환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체감하고, 미래 논의에 관심을 키우는 계기가 됐다.

 

 

 

q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그린수소 경제성 확보 세션에서는 정책·기술·경제성 측면의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며, “학생 아카데미 세션에서 차세대 인재들과 소통하고 교육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청정수소 사회 전환에 새로운 동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현길 기자 nr0605@nuriilbo.com
Copyright @2019 누리일보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누리일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290-5 번지 2F 발행인 : 신현길 | 편집인 : 신현길 | 전화번호 : 031-335-0323 등록일 : 2019.07.04 등록번호 경기,아52251 Copyright ©2019 누리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