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유엔플라스틱 협약 부산 개최, 친환경도시로 도약할 기회 삼아야”

2024.06.18 14:26:56

환경친화도시로 자리매김 위한 탈플라스틱 산업 지원 및 정책적 뒷받침 강조

 

(누리일보)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김효정 의원(국민의힘, 덕천ㆍ만덕)은 6월 18일 열린 제321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에서 계획된‘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환경문제에 선도적인 도시로 발전해야 한다는 취지를 밝혔다.

 

유엔환경계획(UNEP)이 주최하는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가 다가오는 11월 25일부터 12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의는 193개 UN회원국의 대표단을 비롯하여 전세계 3,000여명의 관계자가 방문하여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협약을 마련하고, 플라스틱 오염 방지에 대한 이해를 확산할 뿐 아니라, 국가 및 부산을 홍보할 수 있는 기대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효정 의원은 이러한 기회를 맞이하여 부산이 전세계적인 친환경 도시의 위상을 얻기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정책적인 역량과 제도 정비가 절실하다며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관련 산업 지원, 기업유치를 위한 정책적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일례로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들어, 법령이 미비한 것과 별개로 시 차원에서 이를 저감하기 위한 제도적인 준비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가 2050년까지 생활계 플라스틱을 바이오플라스틱으로 전체 대체하려는 목표를 제시함에 따라 바이오플라스틱 산업이 확장되고 있는 만큼 해당 기업들을 유치하고 지원하는 방안 또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자원순환 클러스터 준공 시기가 2023년에서 2026년으로 지연된 것을 지적하며, 추가로 지체되지 않도록 충실하게 추진하고 내실있는 운영 방안을 마련하여 실질적인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대안 마련과 시민문화 조성을 위한 노력으로 전반적인 플라스틱 배출량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적극적 정책수립과 예산 반영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효정 의원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해야만 미래세대가 더 나은 세상에 살 수 있고, 우리의 움직임을 보다 긍정적으로 기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제5차 회의가 부산에서 열리는 만큼,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로서 친환경적인 정책 측면에서 가장 모범적인 도시 중 하나가 될 수 있도록 부산시와 시민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신현길 기자 nr0605@nuriilbo.com
Copyright @2019 누리일보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누리일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290-5 번지 2F 발행인 : 신현길 | 편집인 : 신현길 | 전화번호 : 031-335-0323 등록일 : 2019.07.04 등록번호 경기,아52251 Copyright ©2019 누리일보. All rights reserved.